IT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이야기(190)
-
시스템PE로 네트워크 공유 파일 드라이브로 인식 시키기
시스템PE로 네트워크 공유된 드라이브나 폴더를 PENetwork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인식시켰습니다. 어드민PE의 경우 네트워크 검색으로 같은 네트워크 상의 공유된 파일을 쉽게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인식 시킬 수 있으나 시스템PE의 경우 PENetwork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 할 때 정확한 네트워크 공유 드라이브 명이나 폴도의 정확한 이름을 모를 경우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이때 위 사진 처럼 IP 검색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공유 PC명 또는 IP 주소를 알아내서 PENetwork 네트워크 표시에 공유 PC 이름 또는 IP 주소를 넣으면 공유된 PC에 공유된 드라이브와 폴더가 보입니다. 그리고 공유된 폴더를 더블 클릭하면 자동으로 인식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쉽..
2023.09.17 -
윈도우PE 우클릭 숨김파일 보기
중국 차레이1028님의 경우 요즘 PE 만들면서 여러 테스트를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틀 동안 계속 새로운 PE를 만들고 있군요. 저도 테스트 계속하고 있는데 9월13일 버전은 조금 오류가 있었는데 그사이 14일 버전을 또 새롭게 만들었네요. 9월14일 버전의 경우 숨김 폴더 및 파일들을 볼 수가 없어서 윈포 카*님 퀀텀PE 안에 있는 우클릭 숨김 파일 보기를 명령어 약간 수정해서 차레이PE 한글화 할 때 기능 추가 했습니다. 명령어 수정 부분은 숨김 파티션 보이는 명령어는 삭제하고 탐색기 재시작 명령어를 pecmd 기본 명령어로 수정했습니다. SuperHidden.cmd 명령어에 K-MountC.exe -Unmount 와 PECMD.EXE show -1:-1 추가하고 K-MountC.exe 파일 추가..
2023.09.14 -
윈도우PE 내부 툴과 외부 툴 사용법
윈도우PE 사용하는 이유가 저 같은 경우 윈도우 백업 및 복원, 윈도우 설치를 주로 사용해서 PE Wim 안에 최소한에 프로그램들만 추가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세르게이PE의 경우 외부에 프로그램들을 두고 PE 부팅후 필요할 때 불러와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이 좋기는 한데 세르게이PE 같은 경우 드라이버 설치 및 너무 많은 프로그램들을 불러오는 방식이라 저와는 맞지 않더군요. 그래서 간단하게 외부 툴 불러오는 방식으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단축키 F2를 누르거나 시작 버튼에서 바로가기를 선택하면 외부에 있는 A~Z 드라이브에 있는 PETools 폴더에 있는 프로그램들을 작업표시줄에 런처로 등록해서 바로 사용 가능하게 해 보았습니다. 위에 사용한 2가지 런처의 경우 윈도우 포럼에 지*빠님..
2023.09.10 -
윈도우PE 에서 구버전 곰녹음기로 녹음하기
윈도우와 PE에서 사용 가능한 녹음 프로그램들도 찾아서 사용해 보았으나 무료로 한글 사용이 가능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녹음 프로그램은 찾기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컴퓨터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곰녹음기가 있더군요. 최신 버전의 곰녹음기의 경우 닷넷을 설치해야 해서 윈도우PE에서는 구버전을 사용해야 합니다. 구버전은 용량도 더 작아서 좋군요. 곰레코더 포터블을 만드는 법은 곰녹음기 EXE 파일을 그냥 7z으로 압축을 풀어서 위 사진 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곰레코더 안에는 녹음 파일을 잘라낼 수 있는 프로그램도 같이 있습니다. 그리고 번외로 최신 인터넷 브라우저들은 문서, pdf, 동영상 재생 및 음향 재생 모두 다 되어서 윈도우PE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 수를 많이 줄일 수 있어서 좋네요.
2023.09.09 -
윈도우 11PE 시작 버튼 중앙 배치
별 내용은 없습니다. 윈도우11PE의 경우 시작 버튼을 윈도우11과 같이 중앙으로 배치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저한테는 조금 더 편한 것 같습니다. 시작 버튼 클릭 하려구 마우스를 왼쪽 오른쪽으로 휙휙 거리지도 않아도 되구요. 이번 시작 버튼 수정으로 제가 생각하는 PE에 조금 더 가까워졌습니다.
2023.09.06 -
바탕화면에 하드웨어 정보 표시 프로그램
바탕 화면에 간단한 윈도우 및 하드웨어 정보 표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https://github.com/a1ive/nwinfo 에 있는 자료를 단일 파일로만 만들었습니다. 윈도우에서 보다는 윈도우PE에 사용하려고 포터블화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레인미터보다 이게 보기 좋은 듯 합니다. 바이러스 토탈 결과 https://www.virustotal.com/gui/file/81b146252aaddbf107f42c15ae00675f7429734789cc2a46627781ddddc6cfa7
202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