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0)
-
외국PE 한글화 할때 한글 입력 쉽게하는 방법
드디어 꼬임으로 외국PE 한글화 할때 한글입력을 조금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 글을남길 수 있어서 오늘 참 좋네요... 위 사진 처럼 한글화한 PE Wim에 마지막 사진 처럼 Windows 폴더에 System32와SysWOW64폴더를 퐁당 넣으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pecmd.ini 명령어를 추가해 주면 끝입니다. EXEC regedit /s "%SystemRoot%\System32\CTF.reg" EXEC @!=%SystemRoot%\System32\IME.exe EXEC @!=%SystemRoot%\System32\ctfmon.exe 명령어 위치도 중요해서 위 명령어는 pecmd.ini 위 쪽에 위치하는 것이좋습니다. 그래도 작업표시줄에 한 자만나오고 A 표시가 안나올 때면 pecmd.in..
2024.08.25 -
Drvindex v7 23.10.520 버전 한글화
Drvindex v7 7 23.10.520 버전을 한글화 해봤습니다.이전 v7 7 23.10.2501 한글화 버전에서 번역 어색한 부분과 글꼴 부분 변경했습니다. 이 파일은 중국에 Lightning님이 만든 PE용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호스트 PC의 드라이버를 불러와서 PE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프로그램으로 최근 인터넷이 되는 PE에 기본적으로 사용될 만큼 좋은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한글화 하기 힘든 이유는 소스가 난독화가 되어있습니다.그래서 그동안 한글화를 못했는데 최근에 게시된 윈포 강좌 pecmd cmpa 복원화를 보고 한글화 해봤습니다. 한글화 할때 윈포 못짱님 Drvindex 한글 프로그램 참고했습니다.
2024.08.24 -
세르게이 11pe 24년 9월 20일 버전 오류 똑같음
세르게이 11pe 24년 9월 20일 버전도 역시 똑같은 오류가 있습니다.새로운 버전 테스트도 이제 좀 지치네요. ---------------------------------------------------------------------------------------------------세르게이 pe가 24년 8월 21일 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는데 작업표시줄, 탐색기 오류똑같이 나옵니다. 제 생각으로는 세르게이 pe 경우 어플들 업데이트만 되는 듯 합니다.classic shell 버전도 여전히 이전 버전으로 사용하구요... 확인해보니 7z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7z으로 압축해제 할때 오류가 있다는글을 읽었는데 이 부분 업데이트 한 것 같습니다. 다른 부분은 거의 업데이트 된 것이 없어 보입니다. 그냥..
2024.08.22 -
세르게이 11pe 오류 수정
세르게이 11PE를 사용하다 보면 자잘한 오류가 있습니다. 특히 작업 표시줄과 탐색기오류가 대표적입니다. 오류 수정 때문에 머리가 많이 아팠는데 작업표시줄에 시작 버튼 classic shell프로그램이 구형입니다. 이 부분을 최신 classic shell로 교체하니 오류가 많이 사라졌습니다.저 처럼 오류 발생하는 분들은 classic shell 프로그램 업데이트 한번 해보세요.
2024.08.22 -
Process Explorer v17.06 부분 한글화
윈도우PE에서 사용하려고 Process Explorer를 그냥 저냥 사용가능하게 부분 한글화했습니다. 이 프로그램 저작권이 어떻게 되는지 몰라서 일단 글만 남깁니다.
2024.08.22 -
Win11 PE Lightning 업데이트
Lightning PE 마지막 버전이 23년 5월 버전으로 알고 있었는데 구글링 하니까23년 10월 버전도 있어서 이것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부분인데 23년 5월 버전은 위 사진에나오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부분이 나오지 않습니다. 현재 인터넷에 돌고 있는 한글 Win11_Lightning_22621.1631 PE들은 제가 알기로는23년 5월 버전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부분 업데이트 부분은 화상 키보드, 계산기, 브레이브 브라우저 기타 등등입니다. 저 같은 경우 PE wim 안에 모든 프로그램들을 넣어서 만듭니다. 그 이유는 컴퓨터 상태가 좋지않은 상태에서 usb를 계속 삽입해서 사용하면바이러스, 랜섬웨어 등이 usb에 침투할 수 있어서 입니다. 브레이브..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