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0)
-
윈도우PE 폰트 등록
바탕화면에 하드웨어 정보 표시 프로그램: https://nonlol.tistory.com/270 후속 글입니다. 외국PE를 꼬임 프로그램으로 한글화 하면 기본 폰트는 등록되어서 PE 윈도우 폰트 폴더에 폰트만 추가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바탕 글꼴은 레지와 함께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윈도우에 바탕 폰트와 레지 파일을 윈도우PE 부팅할 때 등록해서 사용하면 글꼴 문제 없이 사용가능합니다. 첨부한 레지파일 등록하고 batang.ttc 파일은 PE 윈도우 font 폴더에 넣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2024.08.11 -
바탕화면에 하드웨어 정보 표시 프로그램
중국 Lightning님이 만든 바탕화면에 하드웨어 정보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한글화한것을 아이콘하고 폰트 만 수정했습니다. 폰트를 수정한 이유는 일반 윈도우에서는 표시가 잘되던것이 PE에서는 글이 겹쳐지는 현상이발생해서 여러 폰트들을 테스트 해보니 가장 문제가 적은 글꼴인 바탕으로 변경했습니다. 이렇게 해도 러시아PE에서는 글자가 또 겹쳐집니다. 중국PE에서는 표시가 잘되구요.테스트 해보니 러시아PE에 바탕 글꼴 설치 후에는 정상적으로 표기 되네요... 이 프로그램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글짜 크기와 표시 위치를 변경 후 저장해서사용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 기능은 4k 모니터 사용이 증가 할 수록 많이 사용할 기능으로 보입니다. 수정한 프로그램을 공유하려고 보니 바이러스 토탈 결과가 좋지 않아 수..
2024.08.11 -
드라이브 문자 정렬 방법
주의!!! 이런 류의 프로그램들은 초보자 분들은 사용시에 조심하셔야 합니다.윈도우PE 백업 및 복구 또는 그에 상응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본래 이 방법은 Kuerpe에서 드라이브 문자 정렬하는 방법인데 실 컴퓨터에서도 사용가능합니다. 다만 이 방법의 윈도우 PE에서 실행 할때 약점은 램 드라이브가 있으면 이것을C 드라이브로 인식하는 정도입니다. 윈도우 PE에서 램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드라이브 정렬이 잘됩니다. 또한 윈도우 상태에서는 C 드라이브명을 변경할 수 없어서 드라이브 정렬같은 경우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는 실컴에서 드라이브 명을 W로 변경 후에 실행해서 드라이브 정렬한 후에재부팅해서 드라이브 변경이 유지되는지 테스트했는데 잘됩니다. 바이러..
2024.08.06 -
숫자 키패드 비활성 및 활성화 cmd 파일
pecmd.exe 파일 옆에 두고 실행하면 숫자 키패드 활성화 및 비활성 할 수 있는 cmd 파일입니다.다른 곳에도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2024.08.01 -
숫자 키패드 활성화 및 비활성화(pecmd.exe 사용)
중국 wuyou 사이트에 숫자 키패드 비활성화하는 글이 있어서 읽어 보았는데 댓글에 간단한pecmd 명령어로 숫자 키패드 명령어를 활성 또는 비활성이 가능하다고 해서 테스트 해보았는데아주 잘됩니다. pecmd.exe 명령어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윈도우 숫자 키패드 활성화 및 비활성하게 만들어봤습니다. NUMK 1은 활성화이고 NUMK 0은 비활성입니다.
2024.07.31 -
Screen2SWF 화면 녹화 프로그램 한글화
Screen2SWF 화면 녹화 프로그램을 리소스 핵커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글화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이어트가 된 PE들에서도 사용가능한 몇 안되는 화면 녹화 프로그램입니다. 이게 홈페이지에 가보면 무료라고 나오긴 하는데 아직 확실하지 않아서 공유는 조금 더 알아보고 해야 할 듯 합니다. 홈페이지 https://www.screen-record.com/screen2exe.htm
2024.07.31